Please enable JavaScript!
Bitte aktiviere JavaScript!
S'il vous plaît activer JavaScript!
Por favor,activa el JavaScript!
antiblock.org

반응형


리처드 르원틴과의 인터뷰 (by David S. Wilson)

원문: The Spandrels of San Marco Revisited (by The Evolution Institute)


생물학적 진화와 인류의 문화적 진화에 관한 인터뷰가 있는데, 내 전공이 아닌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이 섞여 있는지라 꽤 어렵다. 다음은 "단속평형설"로 유명했던 고 스티브 제이 굴드와의 "산 마르코 성당의 스팬드럴논문 공저자였던 리처드 르원틴을 역시 진화생물학자인 데이빗 윌슨이 방문하여 인터뷰한 내용을 요약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르원틴에 따르면 굴드는 진화학자 사이에서 스타가 되고 싶었기에 임팩트를 주기 위하여 과장과 단순화를 이용하였다고 한다. 즉, 단속평형에 의한 진화의 정도를 그래프로 그린다고 한다면, 원래는 점진적 기울기의 변화와 급격한 기울기의 변화가 교차되는 것인데, 굴드는 학술 발표에서 명확한 인상을 심기 위해 진화가 완전히 멈추었다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그래프를 그린 것이다.

그리고 르원틴은 에드워드 O. 윌슨의 "사회생물학"에 대해서도 비판적 입장을 견지했는데, 예를 들어 인간의 "공격성"에 대해 이야기할 경우, 소위 "윌슨 학파"의 사회생물학 (또는 진화심리학)에서는 이를 인간의 "본성"의 하나라고 본다. 하지만 반대의 예로써 군대에 가지 않음을 고집함으로써 평생 감옥에 갇히는 경우를 어떻게 보냐고 묻는다면 그들은 "그것도 그 사람이 자신의 신념을 고집함으로써 나름의 공격성을 표출한 것이다"라는 대답을 들었다고 한다. 말하자면 공격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에 대한 대조가 불가능한 소위 "just so story"라는 것. 심하게 말하자면 아무데나 갖다 붙일 수 있는 말 만들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I think the worst thing we can do in science is to create concepts where what is included or not included within the concept is not delimited to begin with. It allows us to claim anything. That’s my problem with Sociobiology. It’s too loose."

"내 생각에 과학을 하는 데 있어 최악은, 애시당초 무엇이 포함되고 포함되지 않는지를 한정짓지 않은 개념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러면 (말로는) 뭐든 주장할 수 있다. 그게 내가 생각하는 '사회생물학'의 문제다. 너무 느슨하다는 것."

또한 인터뷰어인 데이빗 윌슨은 생물학과 인류학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진화생물학자인데, 그와 관련하여 르원틴에게 "인류문화의 진화"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았다. 인류문화의 진화라 함은, 문화는 기본적으로 집단적 유전의 형식으로써 후대에 전달이 되는데, 또한 환경에 의해 적응을 하게 되고, 필연적으로 전통과 변화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를 겪게 된다는 것을 말한다. 르원틴은 이에 대해서도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는데, 굳이 진화에 비유하여 인류 문화의 "진화"라고 할 것 없이 그냥 인류 문화의 "역사"라 하면 안되냐고 반문한다.

요약하자면 "인류 문화의 진화"는 문화의 "역사"를 생물학적 "진화"에 공통점을 끼워맞춘 잘못된 유비추리에 불과한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 이외의 동식물의 경우는 종의 변화와 더불어 환경의 변화를 함께 겪는 "공진화"를 하는 반면, 인간의 경우는 인간 자체의 원인에 의한 변화가 주도적이라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두뇌의 발달로 인하여 동물들의 틀에 박힌 의사소통 방법이 아닌 언어에 의한 이성적-논리적 소통이 가능해졌다는 독특함으로 인해 "문화"라는 것이 생겼는데, 그 문화 자체의 생성과 변화 또한 진화의 결과로서 나타났기에 굳이 "문화"라는 것까지 이중적으로 진화적 시각에서 보기보다는 하나의 역사로서 인식하는 것이 더 옳다는 이야기.  

"Organisms are always creating their own hole in the world, their own niche(local environment)."
"생명체들은 언제나 세상 속에 자신들만의 구덩이, 즉 자기 자신만의 주변 환경을 만들어낸다."

윌슨은 그래도 문화적 "역사"는 지나치게 광범위한 개념이라고 생각하기에, 르원틴의 발언 중 "생물체는 언제나 자신(들)만의 환경(niche)을 만들어 낸다는 말에 착안하여, 공진화와 niche construction 의 발로에서 문화적 "적응"이 나타난다면, 이는 단순한 "역사" 이상의 좀더 specific 한 부분이 될 듯 하다며 훈훈한 마무리.

르원틴 역시도 환경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공진화의 결과로서 생물들에 의해 변화를 함께 겪는다는 이야기를 생물학자들에게 하면 다들 놀라고 받아들이기 어려워 한다는 코멘트와 함께, 모두들 화이팅을 외치며 훈훈하게 마무리.


반응형
반응형


요즘 미국에서는 소수의 엘리트 연구자들의 연구비 독과점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원당 연구비 상한선을 둘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의 저변은 소수 엘리트들에게 연구비를 몰아주는 소위 '선택과 집중'으로 확대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수준을 떨어뜨리는 부작용만 심해진다. 


생물의 진화적 특성을 이용한 '품종개량'에 비유하자면, 특정 방향성을 갖는 진화에도 선택압의 존재는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심한 선택압은 개체군의 대부분을 도태시키고 극소수만을 살아남게 만들며, 결과적으로 전체 집단의 생태를 망가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과거 지질시대 대멸종처럼 아예 과학기술계 전체를 완전히 망가뜨려 놓고서 맨바닥에서 다시 시작할거 아닌 이상 전체 풀(pool)을 균형있게 골고루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원문: "천여 명에 가까운 연구자들이 미국 국립 보건원으로 하여금 연구비 지원 인덱스(GSI) 정책을 되살릴 것을 요구하는 서명운동에 참여했다."

- by Bob Grant, 2017년 8월 9일 The Scientist 기사.


최근 미국 국립 보건원(NIH)에서는 Grant Support Index(GSI)라는 제도를 도입하여 개별 연구원에 대한 연방정부의 연구비 상한선을 마련하려다 비판에 직면하여 이를 취소하고 신진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따로 마련하는 것으로 방침을 바꾸었는데, 이에 대해 천여 명 가까운 미국 의생명공학 연구자들이 폐지에 불만을 제기하고 이를 재고할 것을 요구하는 서명운동에 참여했다고 한다.


GSI 제도는, 이미 정상 궤도에 올라 연구비가 풍부한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몰아주지 않고 더 많은 수의 과학자들에게 연구비를 분배할 수 있도록 포인트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미국내 1퍼센트의 연구자가 전체 NIH 연구비의 11퍼센트를 받고 있으며, 10퍼센트의 연구자가 전체 연구비의 40퍼센트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 GSI 도입을 뒷받침하는 NIH 연구비 수주상태와 연구생산성 간의 연관성 조사보고서에 오류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NIH는 올해 6월에 GSI 프로그램을 폐기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 서명운동을 시작한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의 세포생물학자 Mark Peifer는 이 정책의 기본 정신은 의생명과학 학계를 위해 바람직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GSI 제도를 뒤집어 엎은 것은 결국 적은 수의 권력을 가진 과학자들이 핵심 정책 결정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 주며, 이는 학계 커뮤니티 및 연구사업의 효율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는 전 분야에 심각하게 사기를 꺾는 메시지를 보내게 되므로, 우리는 미국 의생명과학자들의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로써 개별 연구원에 대한 연구비 상한선을 둘 것을 요구하는 바이다."


한편 NIH는, '의생명과학 연구사업 강화를 위한 차세대 연구자 육성 사업'이라는 다른 프로그램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적절한 방법이라고 말한다. NIH 연구원장 프랜시스 콜린스는 6월에 GSI 프로그램 폐기 결정 이유를 설명하는 글을 작성하였다.


"우리는 신진 및 중견 연구자들에 대해 전보다 대담하게 집중 지원을 강화하는 방침으로 전환중이며, 동시에 우리의 연구 포트폴리오를 평가할 방법을 개발하고자 전문가들과 함께 노력하고 있다."


NIH가 The Scientist에 보낸 이메일 답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NIH는 신진 연구자 및 초기 중견 연구자들에 대한 NIH 지원 숫자를 늘려 이들의 경력 과정상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차세대 연구원 실무 그룹' 위원장 산하에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차세대 정책의 개발, 실행 및 분석에 대한 자문 지원을 하고 있다. 실무 그룹은 대학원부터 전임 교수에 이르는 경력 단계를 아우르는 열 여섯 명의 실무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자료:

Katz, Yarden and Ulrich Matter. 2017. On the Biomedical Elite: Inequality and Stasis in Scientific Knowledge Production. Berkman Klein Center for Internet & Society Research Publication. [http://nrs.harvard.edu/urn-3:HUL.InstRepos:33373356]

반응형
반응형


토막상식: 한국창조과학회 결성 초기에는 종종 기독교 단체가 아니라 "통일교 단체"로 오인받았다고 한다.

5. 학회 소식지 '창조' 발간
"(생략) 전국의 기독 관련 단체들과 교회들에 '창조'지를 보냄으로써 한국 교계에 창조론 운동의 참뜻이 널리 알려져, 통일교 단체로 오인되었던 것이 불식되고 교계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후략)"

- 출처: 한국창조과학회 홈페이지 (http://goo.gl/oKdP06)

그도 그럴것이,
  • 안티지질학은 안식일교에서 정리했고, (≪새로운 지질학≫, 조지 맥크레디 프라이스‬, 1923)
  • 안티진화론은 통일교에서 정리했다. ‪(≪진화론의 우상들≫조나단 웰스, 2000‬)

특히 조나단 웰스라는 인물은 지적설계론 쪽에서 유명한 사람인데, 통일교 신자이면서 분자생물 및 세포생물학 PhD 학위자라고 한다. 특히 키츠밀러 vs 도버교육청 재판에서 이슈가 되었던 지적설계론 ‪‎위장창조과학‬ 불쏘시개‬ 교과서였던 ≪of Pandas and People≫ 공저자 중 하나이며, 안티진화론 지지자들이 엄청 많이 내세우는 ≪Icons of Evolution(진화론의 우상들)≫ 이라는 책의 저자이기도 하다. 조나단 웰스는 생전의 문선명의 지시로 진화론을 반증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세포생물학을 박사까지 전공했다고 한다.

조나단 웰스는 단순히 통일교 신자인 분자생물학 PhD일 뿐 아니라, 정식으로 뉴욕의 통일신학교에서 종교교육학 석사과정을 이수한 통일교 신학자이며, 통일신학교에서 통일교 신학 관련 강의를 직접 하기도 했다고 한다.
(참고: http://www.darwinismandid.com/then/index.php)

그리고 1997년까지 Unification Theological Seminary(통일신학교)에서 Board of Trustees(이사회 이사)를 역임하기도 했으니만큼, 일단 조나단 웰스의 ID(지적설계) 및 안티진화론 활동과 통일교의 관계는 부정하기 어렵다고 본다. 
(참고: http://goo.gl/ZXVNJP)

참고로, 진화유신론 단체인 바이오로고스에서는 조나단 웰스의 글직접 인용하여 그의 안티진화론 활동은 '문선명의 가르침'에 의한 것임을 명백하게 밝히고 있다.

"Consequently, at least a few important ID authors are not Christians. Here the best known example is undoubtedly Jonathan Wells (read more here and here), a follower of the late Rev. Sun Myung Moon. The recipient of earned doctorates in both Molecular and Cell Biology (Berkeley) and Religious Studies (Yale), he also has a degree from the Unification Theological Seminary (Barrytown, NY). This is not an incidental fact, since Wells himself has said that “Father’s [Moon] words, my studies, and my prayers convinced me that I should devote my life to destroying Darwinism, just as many of my fellow Unificationists had already devoted their lives to destroying Marxism.” Nevertheless, his best-known book, Icons of Evolution (2000), is often sold at creationist meetings in churches and at Christian bookstores."

- Biologos Blog: http://goo.gl/N3vF7v

무엇보다, 현재 창조과학측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티진화론의 거의 모든 논리는 1970년대 말쯤에 통일교에서 확립(?)이 된 것이다. 즉 1960년대에 미국 남침례교에서 1920년대의 안식일교의 홍수지질학을 흡수해서 나온 '과학적 창조론' 운동을 통일교에서 이어받아 안티진화론의 논리를 덧붙여 나간 것이다. 이를 위해 통일교는 문선명 총재의 교시를 받들어 1970년대 초반에 "국제과학통일회의(ICUS)"라는 창조과학 관련 학술 행사를 개최하여 안티진화론적 논리의 기틀을 닦았고, 이는 2017년 현재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 창조과학 컨퍼런스에는 어딘가의 듣보잡이 아니라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John Eccles를 위시한 전 세계의 네임드급 과학자들 중 창조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대거 끌어모으게 된다.


첨언하자면, 비단 "통일교 신자"만을 볼 것이 아니라, 통일교 자체에서 내부적으로 어떤 지향점을 갖고서 어떤 방식으로 작업했는지가 더 중요하다. 일단 알려져 있는 사실로만 따지자면 통일교는 종교 교파를 가리지 않고 창조과학의 안티진화론 논리 확립을 위해 전방위적 지원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조너던 웰스의 안티진화론 작업은 통일교가 그런 식으로 물심양면으로 전폭 지원했던 결과물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독자들이 읽으면서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이 포스팅은 통일교 자체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통일교가 어떤 종교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판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다만 통일교를 이단으로 여기는 근본주의 개신교에서 전폭적으로 지지하는 창조과학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반진화론적 논리의 거의 대부분이 알고 보면 통일교에서 기원하고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참고문헌과 링크

Young, C. C. & Largent, M. A. Evolution and Creationism: A Documentary and Reference Guide. (ABC-CLIO, 2007). [ISBN 978-0-313-33953-0] https://goo.gl/E0tdXx

Forrest, B. & Gross, P. R. Creationism’s Trojan Horse: The Wedge of Intelligent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ISBN 978-0-19-803578-7] https://goo.gl/c6RsBS


통일교와 과학. 위키백과 (영문)


국제과학통일회의. 위키백과 (영문)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Unity of the Sciences (ICUS) 홈페이지


반응형
반응형


"Sexual dimorphism(성적이형성)"은 같은 종의 암컷과 수컷 사이에 겉모양의 차이가 보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암수간에 색깔, 모양, 크기, 구조 등의 차이가 있으며 모두 후천적-환경적이 아니라 선천적-유전적 요인에 의해 그 차이가 결정되는 경우를 말한다.

조류는 많은 종에서 암컷은 보호색을 띠어 숨어서 새끼를 돌보는데 유리하고, 반면 수컷은 화려한 색을 띠어 구애행위 및 영역표시행동에 특화되어 있다. 그리고 산비늘도마뱀(mountain spiny lizard; Sceloporus jarrovi)의 경우는 암수의 크기는 거의 유사하지만 서로 전혀 다른 크기의 먹이를 먹는다고 한다.

포유류의 경우 성적이형성이 크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가령, 개코원숭이의 경우는 수컷이 암컷의 두 배 가량 되며, 큰바다사자는 수컷 성체의 체중이 대략 1톤이며 이는 암컷 성체의 대략 세 배 가량 된다. 암컷의 몸집이 더 큰 성적이형성은 포유류 이외의 동물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곤 한다."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sexual dimorphism]


동성간 vs 이성간 공격성의 성별차이에 대해 2015년에 옥스포드 실험심리학과에서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다.

공격성의 성별차이에는 크게 두 가지 이론, 즉 진화적 성선택이론과 사회적 역할이론이 다소 상충하지만 가장 많이 설명되고 있는 이론이다. 이 논문에서는 영국의 평균 15세의 남녀 학생 11,307명을 대상으로 동성 및 이성에 대한 공격성향을 조사하였는데, 성선택이론에 따르자면 남성 위주의 동성간 공격성, 사회적 역할이론에 따르자면 남성 위주의 이성간 공격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실제로는 어느 한쪽 이론만을 채택하면 이에 상충하는 반대쪽 결과를 설명하기가 어려워지므로 두 가지 이론을 함께 염두에 두고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일반론을 말하자면, (1)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동성에 대한 공격성이 두 배 가량 강하며, (2)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이성에 대한 공격성이 두 배 이상 강하다. 그러나 학급별로 따지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공격성이 강한 학급 또한 다수 존재한다.

그리고 남학생 위주의 동성에 대한 공격성이 강한 학급의 경우는 남학생간 계급성이 강하며, 남학생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학급의 경우 두드러지며, 여학생이 많은 학급의 경우에는 남학생 위주의 이성에 대한 공격성이 강하게 보인다.

전통적인 남녀간 "사회적" 젠더 역할의 차이를 강조하는 소수인종 그룹과 전형적인 현대유럽(영국)의 서양인종 그룹은 전자가 "사회적 역할 이론"에 따라 이성간 공격성을 다소 강화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남학생의 경우에는 동성간 공격성 역시 강화하고 있다.

즉, 인간의 공격성은 진화생물학적 전제조건에 사회문화적 영향이 덧씌워져 이루어지는 것이며, 진화적 성선택은 동성간의 공격성, 그리고 사회적 젠더역할의 영향은 이성간의 공격성을 설명해 주고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