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Bitte aktiviere JavaScript!
S'il vous plaît activer JavaScript!
Por favor,activa el JavaScript!
antiblock.org

반응형

얼마 전 서울로 직장을 옮기면서 하나은행에서 급여통장을 만들게 되었다. 관련하여 쓸만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찾아 보았는데, 다들 뭔가 혜택이 많은 듯 하면서도 받기 까다롭게 되어 있었다. 포인트나 캐시백을 일정 비율로 준다기보다는 전월실적 10~20만원에 5천 또는 1만 하나머니 등 일정액을 지급하는 방식이라, 카드 사용 금액이 애매할 경우에는 혜택이 얼마 되지 않게 되거나, 상위의 보너스를 노려서 필요 없는 소비를 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VIVA e Platinum (비바 e 플래티늄) 체크카드(링크)를 소개하고자 한다. 하나카드 페이지의 체크카드 섹션에서도 '해외' 탭 구석에 숨어 있는데, 교통비 캐시백을 15% (전월실적 25만원, 한도 5천원) 제공하고 있다. 체크카드라서 연말정산시 소득공제에서도 신용카드보다 두 배 만큼 공제받을 수 있다. (카드 사용액이 연소득의 25% 이상부터 300만원까지 공제 대상이며, 이 금액에 대해 신용카드는 15% vs 체크카드는 30%를 공제함)

 

카드 혜택 최소 요건은 각종 할인 및 공과금 등을 제외하고 전월 1일~말일까지 실적 25만원이 필요하다.

 

- 후불교통카드를 월 3만원 이상 이용시 월 5천원 한도 내에서 15% 캐쉬백을 지급한다.

- 국내 온라인 쇼핑 결제시에는 월 5천원 한도 내에서 2만원당 200원의 캐쉬백을 지급한다.

 

체크카드로서 이정도면 나름 꽤 괜찮은 혜택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이 체크카드가 가장 크게 내세우는 건 한진 이하넥스의 특정 서비스 (THE 빠른 서비스) 이용시 배송대행료 20% 할인 서비스 제공이지만, 나는 직구족이 아닌지라 얼마나 이용하게 될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한 달에 교통비를 대략 6만원 정도 사용하기에, 이 카드를 쓸 경우 체크카드로서는 꽤 괜찮은 교통비 월 5천원 + 온라인 쇼핑 월 5천원 (월 최대 1만원, 1년이면 12만원)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본인의 소비 패턴에 따라 포인트 적립률 또는 할인율 좋은 신용카드를 메인으로 사용하고, 소득공제 한도 이상의 소비는 이 체크카드를 쓰면서, 전월실적 25만원 이상이면 교통비 할인도 받을 경우 나름 괜찮은 소비 아니겠는가.

 

반응형
반응형

그림 1. 미국 1달러 지폐 (출처: 위키백과). 뒷면 왼쪽의 피라미드가 13층이라서 적그리스도를 상징하고 그 피라미드 꼭대기의 전시안(Eye of Providence)이 프리메이슨 휘장의 눈 모양이라는 음모론의 단골 소재로 쓰이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하드 사이언스는 아니지만 나름 흥미로운 주제의 심리학 연구결과를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자연이나 사회에서 일어나는 특정 사건이나 현상에 "어떠한 근본적 원인이나 목적이 존재할 것"이라는 믿음은 인지적 편향성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편향성은 목적론적 세계관을 이루며, 언뜻 보기에 별로 상관없어 보이는 "음모론(conspiracism)"과 "창조론(creationism)"이라는 두 가지 신념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독특하게도 이를 연구한 짤막한 심리학 논문이 2018년 8월 20일자 Current Biology 라는 제법 괜찮은 생물학 저널에 오픈 액세스로 게재되었다1. (전체 읽기)


            

[이 글은 필자가 브릭에 연재 중인 글 중 앞부분 일부만을 올린 것이다. 전체 글을 읽고자 하면 다음 링크를 방문하기 바란다. (링크 클릭)]


반응형
반응형

P-Values

image from: xkcd.com


얼마 전, 학교 전산실에서 "통계 표본크기 산출" 주제의 세미나를 듣고 왔다.


???: "요즘 high IF journal에 논문 섭미션할때 그냥 p-value만 들이대면 리뷰오고 통계로 까이고 그러면 리젝받고. 그러면서도 리뷰어에게 허벌나게 치욕적 비난받고 낮은 IF 저널에 냅니다. 온코타겟을 살"(...)


결국 관건은, 통계 검정력을 위한 표본 숫자를 정확하게 계산해서 제시해야 논문 피어 리뷰어도 납득할거라는 얘기인듯 하다. 최근 들어 의학 및 심리학 논문들에서 재현성 위기 (https://en.wikipedia.org/wiki/Replication_crisis) 때문에 엄청 난리였는데, 잘못된 통계 검증 때문에 연구 자체의 유의성이 잘못 설정되어 실제로 그 연구들을 다시 수행해 보았을 경우 재현성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엄청 많았다고 한다. 특히 생물학의 경우 조사 대상의 약 80% 가까이 다른 논문의 방법을 따라했을 경우 결과 재현에 실패한 경험이 있고, 약 60%의 연구자는 심지어 본인의 실험 재현에도 실패한 적이 있다고 하더라(...).


그 이유로 생각해볼 만한 것이, 통계적 연관성이 인과성을 대표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경우도 있겠지만, 많은 경우 통계적 계산을 잘못 적용하거나 너무 약한 통계검정을 사용하여 잘못된 통계치를 근거로 유의성을 주장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요즘같은 경우에는 p-value (귀무가설이 참일 경우에도 이를 기각하는 결과가 나타날 확률) 만으로는 부족하고, 통계적 검정력 및 그에 입각한 표본 갯수 설정 과정도 요구하는 저널이 많아지고 있다. 앞으로 이에 대해 많이 공부해야 할듯 하다.


[Sample size 결정을 위한 effect size 결정]


Cohen's d : 표준화된 효과크기=실제 효과크기/표준편차

<0.4: 작은 효과크기

0.4-0.7: 중간 효과크기

>0.7: 큰 효과크기


여기서 G-Power 라는 프로그램이 실험군당 표본 수 결정을 계산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G*Power)


참고:

https://cs.kaist.ac.kr/colloquium/files/20161031.pdf

반응형
반응형

같은 내용을 봐도 극단적인 사상적 편향성을 가진 사람이 읽을 경우 원하는 정보만을 취사선택하여 그 내용을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가령 스티븐 제이 굴드의 단속평형론을 두고 '연속적 진화를 반증한다'고 이해하는 창조과학 신도들의 경우도 한 예라고 볼 수 있겠다. 관련하여 화두를 던지고자 링크를 하나 공유하고자 한다. 네이버에서 '정신의학의 탄생'이라는 책의 내용을 일부 소개하고 있는데, 최근 출판된 '이상한 나라의 브렌다댓글의 키배질에 주의할것'라는 책과 같은 내용을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하지현 교수가 설명해주고 있다.


이 책들은 둘 다 같은 내용을 소개하고 있는데, 요약하자면, 남자 일란성 쌍둥이에게 포경수술을 시켰는데 의료사고로 인해 그중 한 명의 생식기를 잘라내야 했다. 절망한 부모는 당시 심리학의 거장이며 '성 정체성'이라는 개념의 창시자로 알려진 존 머니(John Money) 박사의 권고에 따라 한 아이를 아예 성전환수술을 시킨 뒤 이름도 '브렌다'로 개명시키고 여자아이로 기른다. 그러나 그 아이는 자신은 '남자'라는 정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무척 괴로운 유년 시절을 보낸다. 보다 못한 부모가 사실을 알려주었고, 브렌다는 다시 남자 이름으로 개명하고 남자로 성전환 수술을 재차 받게 된다. 말하자면 '성 정체성'은 사회적 요소보다 생물학적 요소가 훨씬 지배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성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세 가지 요소가 있는데, 첫 번째가 성 주체성(sexual identity)으로 성염색체와 성기의 생김새로 결정하는 생물학적 성을 말한다. 두 번째는 성 정체성(gender identity)으로 이는 두 살 반에서 세 살 사이의 발달과정에서 ‘나는 어떤 성’인지 인식하는 심리적 성 정체성이다. 세 번째는 성 지향성(sexual orientation)인데, 매력을 느끼는 대상이 무엇인지를 뜻하는 것으로 이성이나 동성 혹은 둘 다가 될 수도 있다. 트렌스젠더, 동성애를 정의하는 데 이 세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데이비드 라이머의 경우 성 주체성은 남성이지만 사고로 성기가 손상되자 성 정체성을 인위적으로 여성으로 만들려 했던 사례다. 또한 성 주체성은 남성이지만 자신의 성 정체성이 여성이라 자각하며 자란 사람이 성인이 되면 스스로의 결정에 의해서 성전환수술을 하기도 한다."

- 하지현 건국대학교 교수, '정신의학의 탄생'

Nature vs nuture 의 주제에서 identity의 문제는 nature가 주된 역할을 하기 때문에 nuture로써 강제로 바꿀 수 없다는 이야기를 터프(TERF; 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t)하신 정크래디펨(자칭 'Gender-Critical(GnC) Radfem'; '젠더'라는 개념은 가부장적 사회구조의 산물이며 따라서 가부장제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젠더'라는 개념 자체를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분들은 '모든 것은 생물학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하고 싶으신가 보다. 그러나 그분들이 간과하고 있는 것은, 성염색체에 의한 호르몬에 반응하는 것은 생식기 뿐만 아니라 뇌 또한 그렇다는 점이다. 이 글의 저자는 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생식기의 형태에 해당하는 '성 주체성', 뇌가 스로의 성별을 인식하는 '성 정체성', 그리고 뇌가 성적 대상을 인식하는 '성 지향성'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즉, 성별 결정의 2/3는 고추나 조개가 아니라 '뇌'가 결정한다는 것. 중요한 것은 '뇌'의 발달은 태어나고 타고나고 도리짓고 땡~ 이게 아니라 사춘기 때까지 계속 발달한다는 것. '가소성'은 '고착성'이 아니다. 다만 일단 형성되면 되돌릴 수 없는 것일 뿐. 게다가 요즘 나오는 의학 저널들을 보면 'sex'와 'gender'의 개념을 딱히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고 거의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말하자면 타고난 신체의 성과 본인이 인식하는 성은 완전히 생물학적으로 고착화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완전히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만도 아니라는 것. 즉 gene과 environment 사이의 상관관계는 어느 한 쪽의 역할만을 극단적으로 강조하면 할수록 비논리적 허접함이 가중될 뿐이라는 말이다. 그만큼 그 두 가지 요소의 영향력은 모두 무시하기 어려울 만큼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정크페미는 '뇌'가 '생물학적 기관'이라는 사실을 무시하고서 'gender identity'의 'gender'는 싸이코패스에 가까운 숭악한 심리학자 존 머니(John Money)가 창안한 개념이기 때문에 거짓이라고 공언한다(발생학적 오류). 게다가 '성별'을 자신이 선택할 수 없다는 점을 '정크페미'는 일부만 취사선택해서 타고난 외생식기의 형태만이 성별을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른 젠더적 성역할이 사회적 교육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따라서 신체성별과 성별인식이 불일치하는 경우는 그냥 '정신병' 내지는 '그냥 다른 성별을 코스프레하는 원래의 신체성별일뿐'이라는 인식으로 강제로 단순화 및 범주화를 시켜놓는다. 말하자면 '생리적 현상인 신체성별과 성인지'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젠더'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십분 활용해서 양자의 개념을 '스까묵고' 단순화시켰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자신의 성별에 대한 정체성 인식을 그냥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타고난 생식기에 의해 성적 구분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고 보는 것은 "뇌"라고 하는 "생물학적 기관"의 기능이 인간의 성 결정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분류 기준에서 무려 3분의 2를 차지한다)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간과하는 것이다.


정크페미분들은 정신의학계에 'gender identity'라는 개념이 이미 의학적 개념으로서 통용되고 있음에도 그러한 (신체구조와 구분되는)정체성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는 것을 두고 '젠더교 광신도'라고 칭한다. 게다가 동시에 그것을 인정하는 페미니스트들을 두고 진정한 페미니즘이 아니며 가부장제와 타협한 '스까페미'라고 칭한다. 어디서 많이 본 논리구조 아닌가? 창조과학이 진화론을 인정하는 사람들을 일컬어 '진화교 광신도'들이라고 덮어씌우는데, 진화론을 인정하는 기독교인들을 일컬어서는 '타협이론'을 지지한다고 한다.


온라인상에서 전투력 충만한 극소수의 급진적 극단주의자들이 온건파들을 두고 소위 '기존의 권위에 타협한 섞어찌개'라고 비난하면서 동시에 '기존 이론을 신봉하는 광신도' 취급한다는 점에서 어떤 기시감을 느낀다. 원래 '전선'을 단순화하면 '공통된 적'을 설정하기도 쉽고 '내 편'을 단결시키기도 쉽다. 어딜 가나 극단주의가 가장 단순 명료하며, 가장 겉보기에 명확하고 이해하기 수월한 이론 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거기에 맛들인 사람들은 점점 편향된 지식에만 중독되어 자신의 '사상'에 반하거나 그와 모순되는 지식은 버린다.인지부조화 결국 '선명성'이 부족한 온건한 현실주의를 일컬어 '스까족' 내지는 '타협주의'라고 멸시하는 '근본주의자'가 탄생하게 되며, 그 이론적 선명성의 매력에 의해 급속도로 퍼져 나갔지만, 결국은 그 보편성은 저멀러 안드로메다로 던져버린 배타적 과격성과 비현실성으로 인해 극소수의 과격분자들 '그들만의 리그'로 게토화되어버린 것이 현실이다. 마치 21세기의 주사파 또는 창조과학처럼.


덧붙여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소위 '동성애 반대운동'을 하는 블로그에서 정크페미와 거의 전적으로 똑같은 주장을 자신들의 반동성애 및 가부장제 강화를 위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써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야말로 '극과 극은 통한다'의 실사례 아니겠는가(笑).

반응형

+ Recent posts